사진 인문학
철학이 사랑한 사진그리고 우리 시대의 사진가들
[이 광 수]
사진이 빠진 현대인의 삶을 상상할 수 있을까요?
사진 인문학에서는 현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사진의 의미를 근, 현대의 사회와 문화속에서
살표보고, 이미지 텍스트로서의 사진에 대한 이해를 조금이라도 얻고자 구매하게 되었다.
하지만 가볍게 읽기에는 인문학적 내용들과 생소한 철학적 개념들로 조금음 버겁게 여겨지던 책이었다.
나의 사진생활에 나는 어디쯤의 깊이로, 좌우 어디쯤에 위치해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사진 인문학'은 인문학자가 쓴 사진 속 철학 이야기다.
부산 외국어대 인도학부 교수인 저자가 처음 사진을 찍은것 은 10여년 전이라고 한다.
2002년 미군이 아프가니스탄 공습 당시 아시아평화인권연대 공동대표로 있었던 저자는
아프간 난민 구호 차 현지를 방문해 보고용 사진을 찍었다.
일생에 다시 경험하지 못할 치열한 현당을 담은 사진 중 쓸 수 있는 사진은 한 장도 없었다는
사실에 절망한 저자는 그때부터 사진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러나 인문학자 특유의 '질문병' 때문에 저자는 아름다운 풍경을 담기에 머무르지 못한다.
누군가는 인간의 무늬를 그리며 사는 것이 인문학이라고 한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 바라는 일을 할 때 인간이 그리는 무늬를 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은 철저하게 자기시각과 자기의사가 들어가기 때문에 해석의 여지는 넓다는 책의 작가는
사진을 통해 인문학을 해보자는 사진인문학을 시작했다고 한다.
서문 내용중에
"이 책은 월간『사진예술』에 2011년 3월부터 3년여 동안 연재했던 글을을 모은 것이다.
연재는 처음부터 책 발간을 염두에 두고 기획했던 세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다.
첫 해에는 사진으로 인문학 하는 데 필요한 개념을 펼쳤고,
둘째 해에는 다른 이의 사진을 인문학적으로 느끼거나 생각해 보는 일을 했고,
세 번째 해에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글과 사진으로 표현한 사진가들의 세계관을 비평하는 일이었다.
세 개의 기획은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사진과 인문학을 이룬다."
책은 사진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접근방법에 대하여 총 3부로 이루어져 있다.
1부 사진의 인문학, 2부 사진 속 생각 읽기, 3부 사진으로 철학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외 여러 사진작가들의 작품과 그 세계, 그것들이 의미하는 바와 작가의 작업노트 등을
소개하면서 어떻게 사진을 봐야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사진은 기록과 그림의 사이에 있기 때문에 미학이 정립되지 않는다며
사진으로 인문학을 하기 위해서는 사진에 메시지를 넣으면 된다고 한다.
사진인문학을 하려면 사진으로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를 읽어내는 것처럼 사진 또한 읽어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기도 한다.
사진은 의미 전달에 있어서 말보다 훨씬 큰 힘을 갖는다.
이미지가 말이나 글보다 더 함축적이어서 그러하다.
사진은 현실을 복사한 장면에서 객관성을 획득하고 그 위에서
자신의 영험과 상상을 연계시켜 감정을 확장시킬 수 있는 여지를 무한히 만든다.
그래서 글이나 말을 통해 어떤 사건에 이미 익숙한 상태일지라도 그 장면을 다시 사진이라는
이미지로 접하면 더 깊은 감정에 휩싸이는 경우가 많다.
직접보다는 간접이, 연속보다는 단절이, 직유보다는 은유가 더 경이감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P 206 책 내용중에서...)
책을 통해서 '사진을 어떻게 찍을 것인가?'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내가 찍은 사진을 '어떻게 익어내고,
어떻게 말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깊이있게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주었고 사진인문학 관점에서
사진의 의미와 사진이 갖는 인문학적 사유에 대해서 고민 할 수 있는 시간을 안겨 주었다.
또 한. 나의 사진생활에 나는 어디쯤의 깊이로, 좌우 어디쯤에 위치해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갈수록 사진이 어렵다는 생각과 늘 고민이 많아 지는군요.
좋은 글 잘읽어 봅니다.
좋은 책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사진에 나의 삶이 녹아드는 깊이가 있는 사진을 찍어야 한다고 뒤늦게 정립해 봄니다. 잘 읽었습니다.
댓글 달기